본문 바로가기
  • 키재니 아트 KISANI ART
  • KISANI ART
창의적 사고

AI 시대의 어린이 교육은?

by 크레용몬스터 2025. 3. 7.

우리 아이들 창의 교육 잘 하고 계시죠?

 

미래 사회에 적합한 교육에서 단연 창의교육은 필수입니다!

 

챗gpt한테 물어보았습니다.

 

미래에 사라지는 직업군들은?

기술 발전과 자동화로 인해 미래에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직업군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직업군

  1. 단순 반복 업무 직군
    • 공장 조립원 (자동화 로봇 대체)
    • 계산원 (무인 계산대, 모바일 결제 시스템 대체)
    • 주차 요원 (무인 주차 시스템 도입)
  2. 사무·행정 관련 직군
    • 은행 창구 직원 (인터넷·모바일 뱅킹 증가)
    • 회계·경리직 (AI 회계 소프트웨어 대체)
    • 데이터 입력원 (OCR, AI 자동화 시스템 대체)
  3. 운전·배송 관련 직군
    • 택시·버스 기사 (자율주행차 도입)
    • 배달원 (드론·로봇 배송 기술 발전)
    • 물류센터 직원 (로봇 물류 시스템 도입)
  4. 전통적인 미디어·출판 직군
    • 신문 기자 (AI 자동 기사 작성 기술 발전)
    • 인쇄·출판 관련 직업 (디지털 콘텐츠 확산)

📈 변화가 필요한 직업군 (새로운 기술과 융합 필요)

  • 교사·강사 → 온라인 교육 및 AI 튜터 활용
  • 변호사·법률 자문가 → AI 법률 분석 시스템과 협업 필요
  • 의사·간호사 → 원격 의료, AI 진단 도입

 

물론 이것이 100% 정답이라고 말 할 수는 없겠지만 AI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은 확실합니다.  앞으로는 기술 발전에 적응하고 새로운 역량을 갖춘다면 오히려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AI를 활용한 새로운 직업군이 계속 등장하고 있으므로, 앞으로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능력이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 아이들 창이교육은 어떻게 시켜야 할까요?

 

뇌교육?

미술교육?

코딩교육?

체력단련?

언어교육?

과학교육?

미디어교육?

 

 

분명한 것은 창의력을 키워주셔야 합니다. 라고 자신있게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평생 미술과 교육분야에 있었던 본인의 말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교육학자의 말이 신빙성이 있을 것입니다.

  1. J.P. 길포드 (Joy Paul Guilford, 1897~1987)
    • 창의력 연구의 선구자로, 인간의 사고 과정을 ‘확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와 ‘수렴적 사고(Convergent Thinking)’로 나눔.
    •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함.
  2. E. 폴 토런스 (Ellis Paul Torrance, 1915~2003)
    • '창의력의 아버지'로 불리며, **토런스 창의적 사고력 검사(TTCT,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를 개발.
    • 교육에서 창의력을 계발하기 위해 열린 사고, 문제 해결 능력, 도전 정신을 강조.
  3. 존 듀이 (John Dewey, 1859~1952)
    • ‘진보주의 교육’의 아버지로, 아동 중심 교육과 경험 중심 학습을 강조.
    • "Learning by Doing(행하면서 배우기)" 철학을 통해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교육을 제안.

 

- 미래 사회에서는 AI와 협력하는 인간의 창의성이 더욱 중요해질 것.

- 단순 암기식 교육이 아닌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 융합적 사고를 키우는 방향으로 변화해야 함.

- 기업과 사회에서도 창의적 인재를 더욱 중요하게 평가하는 추세.

 

 

이제 마~악 걸음걸이를 시작한 귀한 우리 아이 창의교육은 이렇게 하세요. 라는 정답은 없겠지만

아이에게 많은 것을 보여주고 경험하게 해줘야 합니다.

 

창의교육 중 가장 효과적이면서 일반적으로는 미술교육이 있겠죠.

 

오늘은 그 밖에 효과적인 교육으로 하브루타 교육을 소개하겠습니다.

📚 하브루타 교육(Havruta Education)이란?

하브루타(Havruta) 교육은 질문과 토론을 중심으로 한 유대인의 전통적 학습 방법으로, 단순 암기식 교육이 아니라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성을 키우는 데 초점을 둡니다. 이 방식은 유대인들이 오랜 세월 동안 활용해온 교육법으로,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하브루타 교육의 핵심 원칙

1️⃣ 질문하며 배우기

  • 학습자는 스스로 질문을 만들고 답을 찾는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력을 기릅니다.
  • 예: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 "다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

2️⃣ 짝을 이루어 토론하기

  • 2명 이상이 짝을 지어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논쟁하면서 논리적 사고력을 발전시킵니다.
  • 예: 부모와 아이, 친구들끼리 특정 주제를 두고 의견 나누기.

3️⃣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하기

  • 정답이 하나가 아니라는 것을 배우며,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기를 수 있습니다.
  • 예: 동화책을 읽고 "만약 주인공이 다른 선택을 했다면?" 같은 질문 던지기.

4️⃣ 질문을 통해 깊이 있는 학습 유도

  • 아이가 단순 암기에서 벗어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하브루타 교육을 받기 위해 학원이나 기관을 찾을 필요는 없겠지만 일상에서 또는 교육기관에서

이런 방식의 교육을 실천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밥상머리 교육으로 실천합니다.
  • "오늘 하루 가장 재미있었던 순간은?"
  • 가장 인상에 남았던 수업은?
  • 어떤 친구한테 매력을 느끼는지? 등등

그러나 이에 앞서 자녀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솔직하게 응대해주는 부모가 되어야 겠지요! 

 

 선생님이 학생과 함께 토론하기

  • 책, 뉴스, 생활 속 주제를 두고 학생과 대화 나누기.
  • 이야기의 결말을 두고 서로 대화 나누기
  • "이야기의 결말이 다르게 끝난다면 어떻게 될까?"

질문을 통해 아이는 생각하는 연습을 하게 됩니다. 단순 질문보다는 주관적이면서 입체적인 방식의 대화를 주도하는

것이 좋겠죠.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 기르기

  • 정답을 강요하지 않고, 아이가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도록 유도 하기
  • 브레인스토밍 방식으로 정답이 없고 열린 결말로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해 보기

  놀이와 접목하기

  • 역할극, 스토리텔링, 게임 등을 활용해 재미있게 토론하기.

 

하브루타 교육의 효과로 굳이 서술해보자면

창의적 사고력 발달
문제 해결 능력 향상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 형성
사회성과 의사소통 능력 강화되며 

  능동적인 인간상으로 자녀가 성장 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방식은 가정에서는 물론 어떤 교육 기관에서도 채택하여 진행 할 수 있습니다. 

교육 기관을 선택 할 때는 이런 방식의 교육 기관을 찾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Have a good day ~ ❤️

 
 
 

 

 

 

 

반응형

'창의적 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앙리마티스 미디어전시  (1) 2025.03.16
구름바라기  (0) 2025.03.15
지드래곤의 창의적인 패션 코드 분석  (2) 2025.03.07
정크 아트 - 재활용의 마술  (4) 2025.03.06
세계 부자들의 자녀 교육관  (5) 2025.03.04